선조[ 宣祖 ]
조선 제14대 왕(재위 1567∼1608). 처음에는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했고 여러 전적(典籍)을 간행해 유학을 장려했다. 후에 정치인들의 분열로 당파가 나타나 당쟁 속에 정치기강이 무너져 혼란을 겪었다. 재위 후반에 왜군의 침입(임진왜란 1592~1598)과 건주 야인(여진족)의 침입도 받았다
본관은 전주, 어렸을 때의 이름은 이균(李鈞)이었으나 후에 이연(李昖)으로 바꾸었다. 시호는 소경(昭敬)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초(岹)의 셋째 아들이니 즉 중종의 손자(셋째 아들 계)이다(중종의 첫째 아들은 12대 인종, 둘째 아들은 13대 명종). 어머니는 영의정(贈領議政)에 추증된 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이며, 비(妃)는 박응순(朴應順)의 딸 의인왕후(懿仁王后), 계비(繼妃)는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처음에 하성군(河城君)에 봉해졌다.
1552년 11월 서울 인달방(仁達坊)에서 출생하였고, 명종이 후사(後嗣)가 없이 죽자 1567(명종 22)년 16세에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에도 학문에 정진하였다. 나이가 어려 처음에는 명종의 비 인순왕후 심씨(沈氏)가 수렴청정하다가 이듬해부터 친정을 하였다. 그가 왕위에 오름에 따라 아버지가 대원군으로 봉해짐으로써 조선에서 처음으로 대원군제도가 시행되었다.
재위 초기에 조선 전기 훈구파(勳舊派)와 사림파(士林派)의 갈등 속에서 억울하게 희생당한 사림들을 신원(伸寃)하여 주었고, 반대로 선비들에게 해를 입힌 훈구세력들에게는 벌을 내려 사림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었다. 그리하여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한 조광조(趙光祖)를 증직(贈職: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높여주던 일)하고 그에게 피해를 입힌 남곤(南袞)의 관작은 추탈(追奪:죽은 사람의 죄를 논하여 살았을 때의 벼슬 이름을 깎아 없앰)하였으며, 을사사화 때 윤임(尹任) 등을 죽인 윤원형(尹元衡)의 공적을 삭탈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사림들에게 중앙정계 진출이라는 명분을 확보해 주어 새로운 인물들이 등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인재 등용에 과거 성적에만 의존하지 않고 학행이 뛰어난 사람을 중용하려고 애썼다. 따라서 이황(李滉) 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들이 등용되어 국정을 쇄신하였고, 유학의 장려에 필요한 《유선록(儒先錄)》 《근사록(近思錄)》 《심경(心經)》 《삼강행실(三綱行實)》 등의 책들도 편찬하였다.
사림의 중앙 정계 진출과 함께 나타난 새로운 현상으로 당파(黨派)가 만들어지게 되었고, 김효원(金孝元)과 심의겸(沈義謙)의 갈등이 기폭제가 되어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분당됨에 따라 국가 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많은 혼선을 가져왔다. 1591년 세자 책봉 문제로 정권의 우위를 장악한 동인이 서인을 치죄하는 문제를 놓고 강건파와 온건파가 대립하여 남인과 북인으로 갈라지면서 정쟁은 더욱 가속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