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무열왕[ 太宗武烈王 ]
신라 제29대 왕으로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켜 삼국통일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재위 654~661)
성은 김(金), 이름(諱)은 춘추(春秋)이다. 시호(諡號)는 무열(武烈), 묘호(廟號)는 태종(太宗)이다. 25대 진지왕(眞智王)의 아들인 이찬(伊湌) 용춘[龍春, 용수(龍樹)라고도 함]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26대 진평왕(眞平王)의 딸인 천명부인(天明夫人)이다. 각찬(角飡) 김서현(金舒玄)의 딸이자 김유신(金庾信)의 동생인 문명부인(文明夫人) 문희(文熙)와 결혼하여 법민(法敏), 인문(仁問) 등의 아들을 낳았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문왕(文王, 文汪이라고도 함), 노차[老且, 노단(老旦)이라고도 함], 인태(仁泰), 지경(智鏡), 개원(愷元) 등의 서자(庶子)가 있었으며, 고타소(古陁炤)와 지조[智照, 지소(智炤)라고도 한다]라는 딸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타소는 642년(선덕여왕 11) 남편 품석(品釋)과 함께 백제군에 살해되었으며, 지조는 655년(무열왕 2) 김유신과 결혼하였다. 하지만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법민과 인문, 문왕, 노차, 지경, 개원 등이 모두 문명부인의 소생이며, 이들 이외에 개지문(皆知文), 거득(車得), 마득(馬得) 등 딸까지 포함해 5명의 서자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무열왕은 풍채가 영준하고 거동이 위엄 있었으며 어려서부터 세상을 다스리려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그가 하루에 쌀 서 말과 꿩 아홉 마리를 먹었으며, 백제를 멸망시킨 뒤에는 아침과 저녁 두 끼만 먹었는데도 하루에 쌀 여섯 말과 술 여섯 말, 꿩 열 마리를 먹었다고 나온다. 《삼국사기》에는 무열왕이 왕위에 오르기 전인 642년에 딸인 고타소가 백제군에게 죽임을 당하자 직접 고구려로 가서 원병을 요청해 백제에 대한 원한을 갚으려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고구려 사신으로 간 무열왕은 마목현과 죽령을 돌려달라는 고구려의 요구를 거절했다가 목숨을 빼앗길 위기에 놓여 있었는데, 고구려 왕의 총신인 선도해(先道解)에게 가져간 청포(靑布) 300보(步)를 뇌물로 주어 풀려날 방도를 구해 빠져나왔다. 이 때 선도해가 무열왕에게 알려준 계책으로 전해지는 것이 〈토끼전〉 등의 기원이 된 ‘구토설화(龜兔說話)’이다.
진덕여왕이 즉위한 뒤에는 이찬(伊湌)의 직위에 있었는데, 648년(진덕여왕 2)에는 당나라에 사신으로 건너가 백제를 공격할 원병을 요청하여 당나라의 출병 약속을 받았다. 《삼국유사》에는 당시 당나라 왕제가 그의 풍채를 보고 신성한 인물이라며 곁에 두려고 했으나, 이를 사양하고 돌아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삼국사기》에는 무열왕이 당에 가서 황제에게 의대(衣帶)를 받아온 뒤부터 신라에서 당의 의복제도를 따르게 되었다고 나온다.
무열왕은 654년 진덕여왕이 후사가 없는 상태에서 죽자 이찬 알천(閼川)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에는 나라 사람들이 시조인 박혁거세(朴赫居世)부터 진덕여왕까지의 28대를 성골(聖骨)이라고 불렀으며, 무열왕부터를 진골(眞骨)이라고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위한 해에 이방부(理方府)의 영(令)인 양수(良首) 등에게 명하여 율령(律令)을 정비하였으며, 이듬해인 655년에는 금강(金剛)을 상대등(上大等), 문충(文忠)을 중시(中侍)로 삼았다. 그리고 원자인 법민을 태자로 삼았으며, 서자인 문왕과 지경, 개원 등을 이찬, 노차를 해찬(海湌), 인태를 각찬(角湌)으로 삼았다. 이 해에 고구려와 백제, 말갈이 연합하여 쳐들어와 북쪽 33개 성을 점령하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청했다. 그래서 당나라는 소정방(蘇定方) 등을 파견해 고구려를 공격했다.
658년(무열왕 5) 아들인 문왕을 중시로 임명했으며, 이듬해에는 백제를 공격하기 위해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군사를 요청하였다. 660년(무열왕 7)에 김유신을 상대등으로 임명하고, 소정방 등이 이끈 당나라 군대와 연합하여 백제를 공격하였다. 그리고 황산벌싸움에서 백제군을 격파하고 웅진성(熊津城)을 포위하여 백제 의자왕의 항복을 받아 백제를 멸망시켰다. 소정방이 당나라로 돌아간 뒤에도 이례성(尒禮城), 사비(泗沘) 남령(南嶺) 등을 공격하여 백제의 잔존세력의 저항을 진압했다. 661년(무열왕 8) 백제의 잔존세력이 사비성(泗沘城)을 공격해오자 품일(品日)을 대당장군(大幢將軍), 문충(文忠)을 상주장군(上州將軍), 의복(義服)을 하주장군(下州將軍), 문품(文品)을 서당장군(誓幢將軍), 의광(義光)을 낭당장군(郞幢將軍)으로 임명해 파견했다. 그리고 고구려 군대가 남하하여 북한산성(北漢山城)을 공격해와서 함락될 위기에 빠지기도 했으나, 성주 동타천(冬陁川)이 20일이 넘도록 성을 방어하여 고구려 군을 물리쳤다. 하지만 무열왕은 그해 음력 6월 무열왕은 즉위 8년 만에 죽었고, 아들인 법민이 왕위를 계승하였다(30대 문무왕). 《삼국유사》에는 그가 죽었을 때에 59세였으며, 애공사(哀公寺) 동쪽에 묻혔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사기》에는 영경사(永敬寺) 북쪽에 장사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무열왕의 재위기간에 신라는 율령(律令)과 관료체계를 정비하여 왕권의 전제화를 강화했으며, 백제를 멸망시켜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그의 사후에 직계자손으로 8대째 왕위가 계승되면서 120년 동안 정치의 안정에 기초한 황금기를 맞게 되었다.
'교육정보 > 신라 왕조 계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왕[ 神文王 ] (0) | 2022.06.08 |
---|---|
문무왕[ 文武王 ] (0) | 2022.06.08 |
진덕여왕[ 眞德女王 ] (0) | 2022.06.08 |
선덕여왕[ 善德女王 ] (0) | 2022.06.08 |
진평왕[ 眞平王 ]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