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정보673 제너럴셔먼호사건 제너럴셔먼호사건 1866년(고종 3) 7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평양에서 군민(軍民)의 화공(火攻)으로 불타버린 일. 1866년은 조선의 대외교섭사에 있어 중요한 한 해였다. 그해 초 대원군은 천주교 금압정책(禁壓政策)에 따라 프랑스 신부 9명과 천주교도 수천 명을 죽이는 이른바 병인사옥(丙寅邪獄)을 일으켰다. 이를 계기로 조선의 배외 감정은 최고조에 달하였다. 프랑스 선교사를 처형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 함대가 쳐들어오리라는 소문이 파다한 가운데, 그해 8월 정체 불명의 이양선(異樣船) 1척이 대동강을 거슬러 평양까지 올라왔다. 이것이 바로 제너럴셔먼호였다. 셔먼호는 원래 미국인 프레스턴(Preston,W.B)의 배였다. 그런데 프레스턴이 톈진(天津)에 기항하고 있던 중 그곳에 주재하던 영국 .. 2022. 1. 25. 병인박해 [ 丙寅迫害 ] 이 박해는 네 차례에 걸쳐 파동으로 전개되었다. 첫번째는 1866년 봄에, 두번째는 1866년 여름에서 가을까지, 세번째는 1868년, 네번째는 1871년으로 이어져 도합 8,000여 명 이상의 순교자를 내었다. 1868년의 세번째를 무진사옥, 1871년의 네번째를 신미사옥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대원군에 의해 계속 추진된 것이므로 병인박해에 포함시키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병인박해는 병인년(丙寅年)인 1866년 한 해의 박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뒤 6년간에 걸친 박해를 모두 지칭하는 용어이다. 대원군은 원래 천주교에 대해 묵시적으로 이해를 지녔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가 천주교 박해령을 선포하고 장기간에 걸쳐 박해를 강행하게 된 데에는 서양세력의 침략적 접근에 따른 국가적 위기 의식과 정치적 반대.. 2022. 1. 25. 고종 [ 高宗 ] 고종 [ 高宗 ]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재위 1863∼1907). 명성황후와 대원군의 세력다툼 속에서 일본을 비롯한 열강의 내정 간섭을 겪었다. 개화, 수구의 양파가 대립하였고, 병자수호조약, 한·미, 한·영수호조약 등이 이루어졌다. 초휘(初諱) 재황(載晃). 아명(兒名) 명복(命福). 초자(初字) 명부(明夫). 자 성림(聖臨). 호 주연(珠淵). 영조의 현손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둘째 아들이다. 비(妃)는 명성황후로,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치록(致祿)의 딸이다. 1863년(철종 14) 12월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조대비(趙大妃)의 전교(傳敎)로 12세에 즉위하였다. 새 왕의 나이가 어리므로 예에 따라 조대비가 수렴청정하였으나, 대정(大政)을 협찬하게 한.. 2022. 1. 25. 루미놀 반응 실험 루미놀 반응 실험 루미놀 [ luminol ] 적절한 산화제와 섞었을 때 푸른 빛의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을 일으키는 루미놀(Luminol)은 물에 녹지 않지만, 대부분의 극성 유기용매에 녹는 흰색의 결정성 고체이다. 과학수사관은 사건 현장에서 미량의 혈흔을 찾기 위해 그리고 생물학자는 단백질흡입법(western blotting)을 통한 특정 단백질이나 세포 내 구리, 철, 사이안화물 등을 감지하고 분석하는 데 이 화합물을 사용한다. 특정 영역에 루미놀을 고르게 분산하도록 뿌릴 때 미량의 활성 산화제만 존재해도 어두운 방에서 강렬한 푸른 빛을 볼 수 있다. 발광은 약 30초간 유지되지만, 그사이 노출을 길게 해 촬영을 하면 그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푸른 빛의 세기는 피의 양이나 다.. 2021. 12. 17. 이전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 16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