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정보/고구려 왕조 계보29 장수왕[ 長壽王 ] 장수왕[ 長壽王 ] 고구려 제20대 왕(재위 413~491). 도읍을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기고 적극적으로 남하정책을 추진하여 광활한 영토를 차지하였다. 이름은 거련(巨連)·연(璉)이며,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의 맏아들이다. 모습이 괴걸(魁傑)하고 지기(志氣)가 호매(豪邁)한 대장부로서 409년(광개토대왕 19) 태자로 책봉되고, 413년 부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그해 동진(東晉)에 사신을 파견하여 국교를 맺었으며, 414년에는 지금의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광개토왕비를 건립하였다. 427년(장수왕 15)에는 도읍을 퉁거우 지방의 국내성(國內城)에서 평양(平壤)으로 옮기고 적극적으로 남하정책을 추진하였다. 중국에 남조의 송과 북조의 북위가 대립하는 남북조시대가 열리자 .. 2022. 4. 15. 광개토대왕[ 廣開土大王 ] 광개토대왕[ 廣開土大王 ] 고구려 19대 왕(재위 391∼412). 소수림왕의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이다. 한국 최초의 연호를 사용하였으며, 동예를 통합하고 동부여를 정벌하였다 이름은 담덕(談德)이며,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아들이다. 소수림왕의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로서 완전한 묘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다. 이를 줄여서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으로 부르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재위시의 칭호는 영락대왕(永樂大王)이었는데, '영락(永樂)'은 한국에서 사용된 최초의 연호로 알려져 있다. 386년(고국양왕 3)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391년 고국양왕 사후에 즉위하였다. 즉위 초부.. 2022. 4. 13. 고국양왕[ 故國壤王 ] 고국양왕[ 故國壤王 ] 고구려 제18대 왕(재위 384~391). 이름 이련(伊連) ·어지지(於只支). 소수림왕의 아우. 광개토왕의 아버지. 385년 군사 4만으로 요동(遼東)을 공격하였고, 이듬해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히는 등 외치(外治)에 힘썼다. 불교를 널리 펴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국사(國社)를 세우고 종묘(宗廟)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2022. 4. 13. 소수림왕[ 小獸林王 ] 소수림왕[ 小獸林王 ] 고구려 제17대 왕. 전진으로부터 불교를 도입하고, 태학을 설립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5세기 고구려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구부(丘夫)이다.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로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다. 371년 고국원왕이 백제 군과 평양에서 싸우다가 유시(流矢)에 맞아 전사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소수림왕이 즉위한 당시는 국왕이 전사한 상황에서 국가의 체제 정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넓은 영토와 주민들을 체계적으로 통치할 제도의 정비가 요구되던 시기였다. 따라서 소수림왕은 즉위 후, 국가를 새로운 체제로 정비해 나갔다. 먼저, 372년 전진 왕 부견(符堅)이 보낸 승려 순도(順道)가 가져온.. 2022. 4. 13.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