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신라 왕조 계보56

경문왕[ 景文王 ] 경문왕[ 景文王 ] 신라의 제48대 왕(재위 861∼875). 성은 김(金), 이름은 응렴(膺廉/凝廉)이며 시호는 경문(景文)이다. 신라의 제43대 희강왕(僖康王, 재위 836∼838)의 손자로 아버지는 아찬(阿湌) 김계명(金啓明)이다. 어머니는 광화부인(光和夫人) 박씨(朴氏)로 광의부인(光義夫人)이라고도 한다. 제47대 헌안왕(憲安王, 재위 857∼861)의 두 딸을 모두 왕비로 맞이해 김정(金晸, 제49대 헌강왕), 김황(金晃, 제50대 정강왕), 김만(金曼, 제51대 진성여왕) 등을 낳았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어머니인 광화부인이 신무왕의 딸이며, 왕비는 헌안왕의 딸인 문자왕후(文資王后)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 《삼국사기》에는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弓裔, ?∼918)가 경문왕의 아들이.. 2022. 6. 9.
헌안왕[ 憲安王 ] 헌안왕[ 憲安王 ] 신라의 제47대 왕(재위 857∼861). 성은 김(金), 이름은 의정(誼靖)으로 우정(祐靖)이라고도 한다. 시호는 헌안(憲安)이다. 아버지는 제38대 원성왕(元聖王, 재위 785∼798)의 손자인 김균정(金均貞)이며, 어머니는 민애왕(閔哀王, 재위 838∼839)의 아버지로 선강대왕(宣康大王)으로 봉해진 김충공(金忠恭)의 딸인 조명부인(照明夫人)이다. 헌안왕은 제45대 신무왕(神武王, 재위 839)의 이복동생으로, 제46대 문성왕(文聖王, 재위 839∼857)에게는 숙부가 된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어머니가 흔명부인(昕明夫人)이며, 무인년(戊寅年)인 858년에 즉위해 3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왕비와의 사이에서도 아들은.. 2022. 6. 9.
문성왕[ 文聖王 ] 문성왕[ 文聖王 ] 신라의 제46대 왕(재위 839∼857). 성은 김(金), 이름은 경응(慶膺), 시호는 문성(文聖)이다. 신라의 제45대 신무왕(神武王, 재위 839)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정종태후(定宗太后)라고도 불리는 정계부인(貞繼夫人)이다. 842년(문성왕 4) 이찬(伊湌) 위흔(魏昕)의 딸을 비로 맞이해 왕자를 낳아 847년(문성왕 9) 태자로 봉했다. 그러나 태자는 852년(문성왕 14)에 일찍 죽었다. 이 밖에 제56대 경순왕(敬順王, 재위 927~935)의 고조부인 김안(金安)이 문성왕의 왕자로 알려져 있으나 누구의 소생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왕비가 소명왕후(炤明王后)라고 기록되어 있다. 문성왕은 아버지인 신무왕이 장보고(張保皐)의 도움으로 민애왕(閔.. 2022. 6. 9.
신무왕[ 神武王 ] 신무왕[ 神武王 ] 신라의 제45대 왕(재위 839). 성은 김(金), 이름은 우징(祐徵), 시호는 신무(神武)이다. 신라의 제38대 원성왕(元聖王, 재위 785∼798)의 증손자로, 조부는 원성왕의 셋째아들인 김예영(金禮英)이고, 부친은 제42대 흥덕왕(興德王, 재위 826∼836) 때에 상대등(上大等)을 지낸 김균정(金均貞)이다. 어머니는 진교부인(眞矯夫人) 박씨(朴氏)이며, 비는 정종태후(定宗太后)라고도 불리는 정계부인(貞繼夫人)으로 아들 김경응(金慶膺, 제46대 문성왕)을 낳아 태자로 삼았다. 제43대 희강왕(僖康王, 재위 836∼838)의 사촌이며, 제47대 헌안왕(憲安王, 재위 857~861)의 이복형이다. 신무왕은 제41대 헌덕왕(憲德王, 재위 809∼826) 때인 822년 김헌창(金憲昌)이.. 2022. 6.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