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정보/조선왕조 계보27 광해군[ 光海君 ] 광해군[ 光海君 ] 조선의 제15대 왕(재위 1608~1623). 임진왜란 이후 부국강병의 기틀을 다졌다. 하지만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다. 조선왕조 제15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608년에서 1623년까지이다. 이름은 이혼(李琿), 본관은 전주, 선조(宣祖)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이며 비(妃)는 판윤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세자 책봉 문제로 임해군과 갈등을 빚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하였을 때 국난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피난지 평양에서 세자에 책봉되었다. 선조와 함께 의주로 피난을 가다가 영변(寧邊)에서 갈라졌다. 선조는 의주로 향하고 광해군은 권섭국사(權攝國事)의 직위를 맡아 분조(分朝)의 책임자로 평안도 지역으로 출발하였다. 임진왜란 기간 중에 평안도·강원도·황해도 등지.. 2022. 7. 29. 선조[ 宣祖 ] 선조[ 宣祖 ] 조선 제14대 왕(재위 1567∼1608). 처음에는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했고 여러 전적(典籍)을 간행해 유학을 장려했다. 후에 정치인들의 분열로 당파가 나타나 당쟁 속에 정치기강이 무너져 혼란을 겪었다. 재위 후반에 왜군의 침입(임진왜란 1592~1598)과 건주 야인(여진족)의 침입도 받았다 본관은 전주, 어렸을 때의 이름은 이균(李鈞)이었으나 후에 이연(李昖)으로 바꾸었다. 시호는 소경(昭敬)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초(岹)의 셋째 아들이니 즉 중종의 손자(셋째 아들 계)이다(중종의 첫째 아들은 12대 인종, 둘째 아들은 13대 명종). 어머니는 영의정(贈領議政)에 추증된 정세호(鄭世虎)의 딸인 하동부대부인(河東府大夫人) 정씨(鄭氏)이며, 비(妃)는 박응순(朴.. 2022. 7. 28. 명종[ 明宗 ] 명종[ 明宗 ] 조선 제13대 왕(재위 1545∼1567). 중종의 둘째 적자(嫡子)이자 인종의 아우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 하였다. 문정왕후의 동생인 윤원형이 을사사화를 일으켰으며 문정왕후 사후, 선정을 펼치려 노력하였다. 조선 제13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545~1567년이다. 이름은 이환(李峘), 자는 대양(對陽)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비는 인순왕후(仁順王后)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딸이다. 중종(中宗)의 둘째 적자(嫡子)이며 인종(仁宗)의 아우이다. 중종은 제1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와의 사이에서 인종을 낳고, 제2계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와는 명종을 낳았다. 이들 두 계비는 같은 파평(坡平) 윤씨였지만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민감하게 대립하.. 2022. 7. 28. 인종[ 仁宗 ] 인종[ 仁宗 ] 조선 제12대 왕(재위 1544~1545). 기묘사화로 폐지되었던 현량과를 부활하고 기묘사화 때의 희생자 조광조 등을 원통함을 풀어주는 등 어진 정치를 행하려 하였으나, 병약하여 포부를 펴지 못한 채 31세에 사망하였다. 자 천윤(天胤). 휘 호(峼). 시호 영정(榮靖). 중종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尹氏)인데 인종을 낳고 산후증으로 7일 만에 사망하였다. 그 때문에 문정왕후의 영향을 받으며 자라게 되었으나, 문정왕후의 성격과 기질이 고약하여 인종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었으며 목숨이 위태로운 시달림을 받았다고 전한다. 인종 비(妃)는 박용(朴墉)의 딸 인성왕후이다. 1520년(중종 15) 세자에 책봉되고 1544년 30세에 즉위하였다. 이듬해 기묘사화(己卯.. 2022. 7. 28.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