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조선왕조 계보27

태종[ 太宗 ] 태종[ 太宗 ] 조선 제3대 왕(재위 1400∼1418). 아버지 이성계 휘하에서 구세력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으나 세자책봉에 불만을 품고 정도전 등을 살해하는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즉위 후, 의정부(議政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설치하는 등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였고 최고의 법사(法司)인 의금부(義禁府)도 설치하였다. 자 유덕(遺德). 휘 방원(芳遠). 태조의 5남. 어머니는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 비는 민제(閔霽)의 딸 원경왕후(元敬王后). 1383년(우왕 9)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대언(密直司代言)이 되고, 후에 아버지 이성계(李成桂) 휘하에서 신진정객(新進政客)들을 포섭하여 구세력의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다. 1388년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나.. 2022. 7. 26.
정종[ 定宗 ] 정종[ 定宗 ] 조선 제2대 왕(재위 1398~1400). 제1차 왕자의 난이 수습된 뒤 왕위에 올랐으며, 재임 2년 후 보위를 이방원에게 양위하였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자 광원(光遠), 휘(諱) 경(曔), 초명 방과(芳果)이다. 태조의 둘째 아들로 출생했다. 비(妃)는 김천서(金天瑞)의 딸 정안왕후(定安王后)이다. 성품이 인자하고 용기와 지략이 뛰어나, 고려 때 아버지를 따라 북방의 전투에 참가하며 많은 전공을 세웠다. 조선 개국 뒤 영안군(永安君)에 책봉되었다. 방과는 권력을 지향하는 기질은 아니었기에 태조 이후 왕자의 난으로 발생한 풍파를 겪지 않았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난 결과로 세자로 책봉되었다. 이후 태조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지만, 정치적 실권을 행사할 처지는 .. 2022. 7. 26.
태조[ 太祖 ] 태조[ 太祖 ] 조선의 제1대 왕(재위 1392∼1398).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로서 요동정벌을 위해 북진하다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우왕을 폐하였다. 막강한 권력으로 전제개혁을 단행하였고 신진세력의 경제적 토대를 구축하여 조선(朝鮮)을 세우고 도읍을 한양(漢陽)으로 옮겨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본관 전주(全州). 자 중결(仲潔). 호 송헌(松軒). 성 이(李). 휘(諱) 성계(成桂). 시호 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대왕(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大王). 즉위 후 휘를 단(旦), 자를 군진(君晉)으로 고쳤다. 비(妃)는 한경민(韓敬敏)의 딸 신의왕후(神懿王后), 계비는 강윤성(康允成)의 딸 신덕왕후(神德王后)이다. 함경도 영흥(永興)에서 아버지 이자춘(李子春)과 어머니 최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1335년(충숙왕 4.. 2022. 7.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