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성왕[ 元聖王 ]
신라의 제38대 왕(재위 785∼798).
성은 김(金), 이름은 경신(敬信), 시호는 원성(元聖)이다. 신라 제17대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재위 356~402)의 12대손으로, 아버지는 일길찬(一吉湌) 김효양(金孝讓)이고 어머니는 계오부인(繼烏夫人) 박씨(朴氏)이다. 각간(角干) 김신술(金神述)의 딸을 비(妃)로 맞이하여, 김인겸(金仁謙), 김의영(金義英), 김예영(金禮英) 등을 낳았다. 맏아들인 김인겸은 원성왕(元聖王)이 왕위에 오른 뒤에 태자로 봉해졌지만 791년(원성왕 7)에 죽어 혜충(惠忠)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 뒤 둘째아들인 김의영이 태자로 봉해졌지만 그도 794년(원성왕 10)에 죽어 헌평(憲平)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하지만 이들은 이미 장성하여 자녀들이 있었으므로 제39대 소성왕(昭聖王, 재위 799~800)부터 제52대 효공왕(孝恭王, 재위 897~912)까지 신라의 왕위는 원성왕의 후손들에게 계승되었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어머니가 지조부인(知鳥夫人)으로 창근이사[昌近伊巳, 일부 판본에는 창근이이(昌近伊己)로 되어 있다]의 딸이며, 왕비는 숙정부인(淑貞夫人)이라고 적혀 있다. 그리고 ‘기이(紀異)’ 편의 ‘원성대왕(元聖大王)’ 조에는 왕에게 혜충태자(惠忠太子), 헌평태자(憲平太子), 예영잡간(禮英匝干), 대룡부인(大龍夫人), 소룡부인(小龍夫人) 등 다섯 명의 손자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王之孫有五人).
원성왕은 제36대 혜공왕(惠恭王, 재위 765∼780) 때에 이찬(伊湌)의 직위에 있었고, 780년(혜공왕 16)에는 상대등(上大等) 김양상(金良相)과 함께 이찬 김지정(金志貞)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했다. (김지정의 난) 그리고 반란의 과정에서 혜공왕이 죽고 김양상이 제37대 선덕왕(宣德王, 재위 780∼785)으로 왕위에 오른 뒤에는 상대등으로 임명되었다. 《삼국사기》에는 어느 왕 때의 일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원성왕이 각간(角干)의 직위에 있으면서, 자신의 다리 살을 베어 어머니를 봉양한 효자 성각(聖覺)을 포상하도록 이찬 김주원(金周元)과 함께 왕에게 진언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원성왕은 785년(선덕왕 6) 정월 선덕왕이 병으로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에는 신하들이 원래 무열왕의 6대손인 김주원을 왕으로 세우려 했으나, 그가 알천(閼川)의 물이 불어 입궁하지 못하자 하늘의 뜻으로 여겨 상대등이었던 원성왕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에는 원성왕이 아찬(阿飱) 여삼(餘三)의 꿈풀이와 권유에 따라 북천(北川, 알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 김주원이 개울을 건너지 못했고, 그 사이에 원성왕이 먼저 궁궐로 들어가 왕위에 올랐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는 원성왕의 왕위 계승 과정에서 무열왕계의 김주원과 갈등이 있었음을 나타내며, 822년(헌덕왕 14) 김주원의 아들인 김헌창(金憲昌)이 반란을 일으키는 배경이 되었다.
'교육정보 > 신라 왕조 계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장왕[ 哀莊王 ] (0) | 2022.06.09 |
---|---|
소성왕[ 昭聖王 ] (0) | 2022.06.09 |
선덕왕[ 宣德王 ] (0) | 2022.06.09 |
혜공왕[ 惠恭王 ] (0) | 2022.06.09 |
경덕왕[ 景德王 ]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