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정보/고려 왕조 계보34 충선왕[ 忠宣王 ] 충선왕[ 忠宣王 ] 고려 제 26대 왕(재위 1308~1313). 1298년 왕위에 오르자 정방을 폐지 등 관제를 혁신하고 권신들의 토지를 몰수하였으며 원나라에 대해서도 자주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7개월 만에 폐위되었다가 1308년 충렬왕이 죽자 다시 왕위에 올랐다. 정치에 싫증을 느껴 원나라로 가 전지(傳旨)로써 국정을 처리하였으나 그 와중에도 각염법을 제정하여 사원과 권문세가의 소금 독점에 의한 폭리를 막았다. 초명 원(謜), 휘 장(璋). 자 중앙(仲昻). 충렬왕의 아들. 어머니는 원나라 세조(世祖:忽必烈)의 딸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비는 원나라 진왕(晉王) 감마라(甘麻刺)의 딸 계국대장공주(薊 國大長公主), 조인규(趙仁規)의 딸 조비(趙妃), 서원후(西原侯) 영(瑛)의 딸 정비(精妃).. 2022. 7. 21. 충렬왕[ 忠烈王 ] 충렬왕[ 忠烈王 ] 고려 제 25대 왕(재위 1274~1308). 원나라 세조의 강요로 일본 정벌을 위한 동로군을 2차례에 걸쳐 파견했으나 실패했다. 원의 지나친 간섭과 왕비의 죽음 등으로 정치에 염증을 느껴 왕위를 선위했으나 7개월 만에 복위해야 했다. 음주 가무와 사냥으로 소일하며 정사를 돌보지 않다가 재위 34년 만인 1308년 죽었다. 초명 심(諶) ·춘(冲). 휘(諱) 거(昛). 원종(元宗)의 맏아들.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김씨(金氏). 비(妃)는 원나라 세조의 딸 장목왕후(莊穆王后). 구비(舊妃)는 시안공(始安公) 인(絪)의 딸 정화궁주(貞和宮主) 및 숙창원비(淑昌院妃) 김씨(金氏)이다. 1260년(원종 1)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1271년(원종 12) 6월 원나라에 가서 세조의 딸 제.. 2022. 7. 21. 원종[ 元宗 ] 원종[ 元宗 ] 요약 고려 제24대 왕(재위 1260∼1274). 개경 환도를 선언하자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으며 여원(麗元) 연합군에 의해 평정되었다. 원나라에서 매빙사(妹聘使)가 오자 결혼도감을 설치, 원성을 샀다. 자 일신(日新). 휘(諱) 정(禎). 이름 식(植). 초명 전(倎). 시호 순효(順孝). 고종의 맏아들. 비(妃)는 김약선(金若先)의 딸 순경태후(順敬太后). 1235년(고종 22) 태자에 책봉되고, 1259년 강화를 청하기 위하여 표(表)를 가지고 몽골에 갔다. 고종이 죽자 1260년 귀국 즉위하였다. 개경으로 환도하려다가, 1269년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되었고 원나라의 문책으로 다시 복위되었다. 최탄(崔坦) 등이 서경(西京)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몽골에 투항하자, 몽골은 서경에 동녕.. 2022. 7. 21. 고종[ 高宗 ] 고종[ 高宗 ] 고려의 제23대 왕(재위 1213∼1259). 재위 기간에 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을 받았다. 몽골의 침입으로 강화에 천도, 28년간 항쟁했다. 팔만대장경 조판, 유학 장려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이름 철(瞮), 초명 진(瞋)·질(晊). 자 대명(大明)·천우(天祐). 시호 안효(安孝). 강종의 맏아들. 어머니는 원덕태후(元德太后) 유씨(柳氏).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 1212년(강종 1) 태자에 책봉되고, 이듬해 강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최씨(崔氏)의 무단(武斷)정치로 실권을 잡지 못하다가, 1258년 최의(崔竩)가 살해되자 정권을 되찾았다. 재위 기간에 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았으며, 특히 1231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몽골의.. 2022. 7. 15.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