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정보/고려 왕조 계보34 의종[ 毅宗 ] 의종[ 毅宗 ] 고려의 제18대 왕(재위 1146~1170). 1170년 정중부 ·이의방 등이 난을 일으켜 폐위되었으며, 거제도로 쫓겨났다. 1173년(명종 3) 김보당의 복위운동이 실패하자 계림에 유폐되었다가 살해되었다. 휘 현(晛). 자 일승(日升). 시호 장효(莊孝). 초명 철(徹). 인종의 맏아들. 어머니는 공예태후(恭睿太后) 임씨(任氏). 비는 강릉공(江陵公) 온(溫)의 딸 장경왕후(莊敬王后). 계비는 참정(參政) 최단(崔端)의 딸 장선왕후(莊宣王后). 1146년 인종의 뒤를 이어서 20세에 즉위하였다. 인종 때 일어난 묘청의 난으로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정치 실권을 가지고 있는 세력들을 견제하기 위해 환관과 측근 세력을 키웠으며 무신세력들에게도 가까이하였다. 하지만 실세 권.. 2022. 7. 14. 인종[ 仁宗 ] 인종[ 仁宗 ] 고려 제17대 왕(재위 1122~1146). 이자겸이 난을 일으키자 반란을 평정하고 이자겸을 귀양보냈다. 서경에서 묘청이 난을 일으켰으나 김부식을 서경 정토대장으로 삼아 이를 평정했다. 주 · 현에 학교를 세웠으며, 서적소를 설치했다. 김부식에게 명하여《삼국사기》50권을 편찬하게 했다. 자 인표(仁表). 휘(諱) 해(楷). 예종의 맏아들. 어머니 순덕왕후(順德王后). 비(妃)는 이자겸(李資謙)의 제3녀 폐비(廢妃) 이씨와 제4녀 폐비 이씨, 중서령(中書令) 임원후(任元厚)의 딸 공예왕후(恭睿王后), 병부상서(兵部尙書) 김예(金睿)의 딸 선평왕후(宣平王后). 1115년(예종 10)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1122년 이자겸에게 옹립되어 즉위하였다. 1126년(인종 4) 이자겸이 난을 일으키자 .. 2022. 7. 14. 예종[ 睿宗 ] 예종[ 睿宗 ] 고려 제16대 왕(재위 1105∼1122). 윤관(尹瓘)에게 여진(女眞)을 경략하게 하여 함흥평야에 9성을 쌓았다. 학교를 세우고 국학(國學)에 양현고(養賢庫)를 설치하는 등 학문을 진흥시켰다. 휘(諱) 우(俁). 자 세민(世民). 시호 문효(文孝). 숙종의 태자, 명의왕후(明懿王后)의 소생. 1100년 왕태자에 책봉되고, 1105년에 즉위하였다. 1108년(예종 3) 윤관(尹瓘)에게 여진(女眞)을 경략하게 하여 함흥평야에 9성을 쌓았다. 1119년 이후 새로 일어난 금(金)나라와 교류를 시작하였다. 학문을 좋아하여 학교를 세우고 국학(國學)에 양현고(養賢庫:학생후생재단)를 설치하는 등 학문을 진흥시켰다. 능은 개성의 유릉(裕陵)이다. 2022. 7. 14. 숙종[ 肅宗 ] 숙종[ 肅宗 ] 고려 제15대 왕(재위 1095~1105). 주전관을 두고 주화인 은병을 만들어 통용하게 하였으며 해동통보를 주조하여 통용하게 했다. 불교를 신봉하여 많은 불회를 열었으며 평양에 기자의 무덤을 만들고 묘사를 세웠다. 자 천상(天常). 초명(初名) 희(熙). 휘 옹(顒). 시호 명효(明孝). 문종(文宗)의 3남. 순종의 아우. 비는 유홍(柳洪)의 딸 명의태후(明懿太后). 문종 때 계림공(鷄林公)에 봉해졌고, 조카인 헌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왕위를 찬탈하여 1095년 즉위하였다. 1096년 주전관(鑄錢官)을 두고 주화(鑄貨)인 은병(銀甁)을 만들어 통용하게 하였으며, 1102년에는 해동통보(海東通寶)를 주조하여 통용하게 했다. 남경(南京)을 양주(楊州)에 세우려고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 2022. 7. 14.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