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고려 왕조 계보34

성종 [ 成宗 ] 성종 [ 成宗 ] 고려시대, 유교사회의 기틀을 확립하다 고려 성종(成宗, 960~997, 재위 981∼997)대는 혜종·정종·광종·경종대의 정치적 혼란이 수습되어 국가체제 정비가 요구되는 시기였다. 고려는 불교를 신봉한 사회였지만, 여전히 정치적 지배 이념에 있어서는 공백 상태나 다름없었다. 고려는 성종대에 들어와 비로소 유교를 정치 이념으로 채택하여 합리적인 국가 운영 체계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유교 사회를 표방하여 그 기틀을 확립한성종은,왕인(王仁, ?~?),조선의 성종(成宗, 1457~1494)과도 비교되곤 하는데, 수성기에 접어든 고려사회를 합리적인 유교사회구조로 개편하고자 했던 왕으로서 그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부인의 후광으로 왕이 되다 고려 제5대왕 경종(景宗, 955~981)이 세상을 떠날.. 2022. 6. 24.
고려 5대왕 경종[ 景宗 ] 고려 5대왕 경종[ 景宗 ] 고려의 제5대 왕(재위 975∼981). 광종의 장남. 어머니는 대목왕후 황보씨. 즉위해 전시과를 제정했다. 뒤에 정치를 등한시하고 음탕한 생활에 빠져 소인과 사귀기를 좋아하고, 군자를 멀리하였다. 휘(諱) 유(伷). 자 장민(長民). 광종의 장남. 어머니는 대목왕후(大穆王后) 황보씨(皇甫氏). 비(妃)는 신라 경순왕의 딸 헌숙왕후(獻肅王后) 김씨(金氏), 문원대왕의 딸 헌의왕후(獻懿王后) 유씨(劉氏), 대종(戴宗) 욱(旭)의 딸 헌애왕후(獻哀王后)와 헌정왕후(獻貞王后) 두 자매, 원장태자의 딸 대명궁부인(大明宮夫人) 유씨(柳氏)이다. 955년에 태자에 책봉되었다. 즉위하자 경종은 사면령을 내리고 광종 대에 억울하게 죽은 자의 자손에 복수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러자 살육전이.. 2022. 6. 24.
광종[ 光宗 ] 광종[ 光宗 ] 고려 제4대 왕(재위 949∼975). 태조의 넷째 아들이며 정종의 친동생이다.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를 실시하는 등 개혁정책을 통해 많은 치적을 쌓았다. 자는 일화(日華), 휘는 소(昭), 시호는 대성(大成)이다.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이고 제3대 왕 정종(定宗)의 친동생이다. 비(妃)는 태조의 딸 대목황태후(大穆皇太后) 황보씨(皇甫氏)이다. 정종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에 그 영명(英明)함을 바탕으로 많은 치적을 쌓았다. 즉위한 후, 국초에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공역자를 정해 차등을 두어 쌀을 지급하였는데, 이는 자신의 지지세력을 확고히 다지기 위함이었다. 950년(광종 1)에는 광덕(光德)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여 자주의식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951년(광종 2)에 .. 2022. 6. 24.
정종[ 定宗 ] 정종[ 定宗 ] 고려 시대의 제3대 왕(재위 945~949). 정적을 제거하며 왕위에 올랐다. 서경으로 천도하려 했으나 개경 세력의 반발과 백성의 원성으로 실패하였다. 거란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광군을 조직했으며 불교 중흥에 힘썼다. 자는 의천(義天), 이름은 요(堯), 시호는 문명(文明)이다. 태조(太祖)의 둘째 아들로, 923년(태조 6)에 태어났다. 어머니는 충주 호족 유긍달(劉兢達)의 딸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이며, 비(妃)는 문공왕후(文恭王后) 박씨(朴氏)와 문성왕후(文成王后) 박씨이다. 혜종이 집권하던 시기에 왕위를 엿보았으며 혜종의 측근이었던 박술희를 제거하고 혜종이 죽자 군신들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다. 즉위 초 왕식렴(王式廉) 등의 도움을 받아 외척으로 세도를 부리던 왕규(王規) 등.. 2022. 6.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