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여왕[ 眞聖女王 ]
신라의 제51대 왕(재위 887∼897)으로 정강왕이 후사 없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문란한 행실과 실정으로 국가재정을 위태롭게 하고 민심을 동요시켰으며 이로 인해 전국적인 농민반란이 일어났다. 헌강왕의 서자 요(嶢)를 태자로 책립하였으며 실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태자에게 왕권을 양위하였다.
성은 김(金), 이름은 만(曼)이며 시호는 진성(眞聖)이다. 신라의 제48대 경문왕(景文王, 재위 861∼875)의 딸이며, 어머니는 제47대 헌안왕(憲安王, 재위 857∼861)의 딸인 문의왕후(文懿王后) 김씨이다. 제49대 헌강왕(憲康王, 재위 875∼886), 제50대 정강왕(定康王, 재위 886∼887)의 동생이며, 제52대 효공왕(孝恭王, 재위 897~912)에게는 고모가 된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이름이 만헌(曼憲)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최치원(崔致遠)의 문집인 《고운집(孤雲集)》에 수록된 〈사은표(謝恩表)〉와 〈사사위표(謝嗣位表)〉에는 이름이 탄(坦)으로 전해진다.
혼인과 자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삼국사기》에는 평소에 각간 위홍(魏弘)과 정을 통하다가 왕위에 오른 뒤에는 늘 궁궐로 들어와 일을 보게 했으며 그가 죽은 뒤에는 혜성대왕(惠成大王)이라는 시호를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왕력’ 편에서는 대각간 위홍이 남편이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기이’ 편의 ‘진성여대왕 거타지(眞聖女大王居陁知)’ 조에서는 위홍이 유모인 부호부인(鳧好夫人)의 남편이라고 엇갈린 기록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진성여왕의 막내아들인 아찬 양패(良貝)가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다는 이야기도 전하고 있으나, 이 기록은 설화로서의 성격이 강해 진성여왕에게 실제 자녀가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887년(정강왕 2) 음력 7월 5일 정강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에는 그 해 음력 5월에 정강왕은 병이 깊어지자 시중(侍中)인 준흥(俊興)에게 누이동생인 진성여왕이 천성이 명민하고 체격이 장부 같으니 그녀에게 왕위를 물려주라는 유언을 미리 남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왕위에 오른 진성여왕은 모든 주(州)와 군(郡)의 조세를 1년 동안 면제해주고, 황룡사(皇龍寺)에서 백고좌(百高座)를 열어 불경의 강론을 들었다. 888년(진성여왕 2)에는 각간 위홍으로 하여금 대구화상(大矩和尙)과 함께 향가(鄕歌)를 수집해 《삼대목(三代目)》을 편찬케 했고, 위홍이 죽자 그에게 혜성대왕이라는 시호를 주었다. 894년(진성여왕 8)에는 최치원이 시무(時務)에 관한 10여개의 조목을 작성해 올리자 이를 기쁘게 받아들이고 그를 아찬(阿湌)으로 삼았다.
하지만 진성여왕 때에 이르러 신라는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큰 정치적 혼란이 휩싸였다. 《삼국사기》에는 진성여왕이 위홍이 죽은 뒤 젊은 미남 두세 명을 남몰래 불러들여 음란하게 지내고, 그들에게 요직을 맡기면서 국정이 문란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거리에 국정을 비판하는 글이 붙을 정도로 민심이 크게 동요했다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유모인 부호부인과 그녀의 남편인 위홍 등 서너 명의 총신들이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며 국정을 어지럽혀 도적들이 벌떼처럼 일어났다고 적혀 있다. 그러나 최치원의 〈사사위표〉에는 진성여왕이 사심이 없고 욕심이 적으며, 몸에 병이 많아 한가함을 좋아하고, 말해야 할 때가 된 뒤에야 말을 하고(時然後言), 한번 뜻한 바는 빼앗지 못하는(志不可奪) 굳은 의지를 지닌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889년(진성여왕 3) 조세가 걷히지 않아 중앙의 재정이 어려워지자 각 주(州)와 군(郡)에 사신을 보내 납부를 독촉하였다. 여러 해 동안 되풀이된 가뭄으로 생활이 어려워진 농민들은 이에 크게 반발했는데, 사벌주(沙伐州, 지금의 상주)에서는 원종(元宗)과 애노(哀奴)가 봉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원종·애노의 난). 진성여왕은 내마(奈麻) 영기(令奇)로 하여금 이를 진압하게 했으나, 진압군이 두려워 진군하지 못할 정도로 반란군의 세력은 급속히 커졌다. 그 뒤 각지에서 반란이 잇달아 일어났다. 891년에는 양길(梁吉) 휘하의 궁예가 100여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북원경(北原京, 지금의 강원도 원주)의 동쪽 마을들과 명주(溟州, 지금의 강릉)의 주천(酒泉) 등 10여 개의 군현을 습격했다. 892년(진성여왕 6)에는 견훤이 완산주(完山州)에서 들고일어나 후백제(後百濟)를 자처하며 무주(武州, 지금의 전남 광주) 동남쪽의 군현을 차지했다. 894년에는 궁예가 하슬라(何瑟羅, 지금의 강원도 강릉)에서 장군을 자칭하며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으며, 이듬해에는 저족(猪足, 지금의 강원도 인제), 성천(狌川, 지금의 강원도 화천)의 2개 군과 한주(漢州)의 부약(夫若, 지금의 강원도 김화), 철원(鐵圓) 등 10여개 군현을 차지하며 세력을 넓혔다. 896년에는 서남쪽에서 바지를 붉게 물들인 적고적(赤袴賊)이 일어나 금성 서부의 모량리(牟梁里)까지 침범하였다.
895년(진성여왕 9)에 헌강왕의 서자인 김요(金嶢, 제52대 효공왕)를 태자로 삼았다. 그리고 897년 음력 6월에 자신이 덕이 없어서 백성들의 생활이 곤궁해지고 도적들이 봉기한다며 태자인 김요에게 왕위를 넘겼다. 최치원의 〈사사위표〉에는 음력 6월 1일에 양위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성여왕은 그 해 음력 12월에 북궁(北宮)에서 사망해 황산(黃山)에 매장되었는데, 오늘날 왕릉의 위치는 확인되지 않는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화장하여 뼛가루를 모량(牟梁)의 서악(西岳)이나 미황산(未黃山)에 뿌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삼국유사》에는 진성여왕 때에 거타지(居陁知)가 서해의 용왕인 서해야(西海若)의 부탁을 받아 늙은 여우를 활로 쏘아 죽이고 용왕의 딸을 아내로 맞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리고 ‘효선(孝善)’ 편의 ‘빈녀양모(貧女養母)’ 조에서는 진성여왕이 어머니를 봉양하려고 부잣집에 자신의 몸을 팔아 종이 된 효녀를 포상하고, 그녀가 살던 마을에 효양리(孝養里)라는 이름을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지만 《삼국사기》에는 이 이야기가 정강왕 때의 효녀 지은(知恩)에 관한 일로 기록되어 있다.
'교육정보 > 신라 왕조 계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덕왕[ 神德王 ] (0) | 2022.06.10 |
---|---|
효공왕 [ 孝恭王 ] (0) | 2022.06.10 |
정강왕[ 定康王 ] (0) | 2022.06.10 |
헌강왕[ 憲康王 ] (0) | 2022.06.10 |
경문왕[ 景文王 ]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