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백제 왕조 계보31

기루왕[ 己婁王 ] 기루왕[ 己婁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백제의 제2대 왕인 다루왕(多婁王, 재위 28∼77)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삼국유사》의 일부 필사본에는 사루왕(巳婁王)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생모와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기루왕(己婁王)은 뜻과 식견이 넓고 원대해 사소한 일에 마음을 두지 않는 성품을 지녔다고 한다. 33년(다루왕 6)에 태자가 되었고, 77년(다루왕 50) 가을에 아버지 다루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기루왕은 부친인 다루왕 때와 마찬가지로 말갈(靺鞨), 신라와 대립하며 영토를 동쪽으로 확장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래서 85년(기루왕 9)에는 군대를 보내 신라의 변경을 침공하기도 했다. 하지만 신라의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2022. 4. 27.
다루왕[ 多婁王 ] 다루왕[ 多婁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백제의 시조 온조왕(溫祚王)의 원자(元子)로 태어났다. 생모와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온조왕의 둘째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기원후 10년(온조왕 28) 태자가 되었으며, 28년(온조왕 46) 온조왕이 죽은 뒤에 왕위에 올랐다. 《삼국유사》에는 다루왕(多婁王)이 너그럽고 후했으며 위엄과 인망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왕위에 오른 다루왕은 29년(다루왕 2) 시조인 동명왕(東明王)의 묘당에 제사를 지냈으며, 33년(다루왕 6) 맏아들인 기루(己婁)를 태자로 삼았다. 그 해에 남쪽의 주(州)와 군(郡)에 명령을 내려 논농사를 시작했고, 34년(다루왕 7)에는 우보(右輔)인 해루(解婁)가 죽자.. 2022. 4. 27.
온조왕[ 溫祚王 ] 온조왕[ 溫祚王 ]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의 아들로 비류(沸流)의 동생이다. 《삼국사기》에는 주몽이 난을 피해 북부여(北扶餘)에서 졸본부여(卒本扶餘)로 왔을 때 졸본부여의 왕이 그에게 둘째딸을 시집보내 비류와 온조 형제가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주몽이 졸본에서 월군(越郡)의 여자에게서 형제를 낳았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전하고 있다. 그러나 비류와 온조 형제가 북부여 해부루(解扶婁) 왕의 서손(庶孫)인 우태(優台)와 졸본 사람 연타취발(延陁溴勃)의 딸인 소서노(召西奴)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내용의 건국설화도 있다. 소서노는 우태가 죽은 뒤 졸본에서 혼자 살았는데, 주몽이 졸본으로 와서 고구려를 세우고 소서노를 왕비로 삼아 비류와 온조 형제를 자신의 소생처럼 대우했다는 것이다.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 2022. 4.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