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정보/백제 왕조 계보31 비류왕[ 比流王 ] 비류왕[ 比流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백제의 제6대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234)의 둘째아들이자 제7대 사반왕(沙伴王, 재위 234)의 동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구수왕과 비류왕의 연대 차이를 고려하면 이러한 기록은 역사적 사실로 보기 어렵다. 234년 고이왕(古尒王, 재위 234~286)이 사반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른 뒤에 책계왕(責稽王, 재위 286~298)과 분서왕(汾西王, 재위 298∼304)으로 고이왕의 자손에게 왕위가 계승되다가 비류왕 때에 이르러 다시 구수왕의 후손이 왕위를 잇게 된 것이 부자 관계로 기록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제13대 근초고왕(近肖古王, 재위 346~375)이 둘째아들로.. 2022. 5. 10. 분서왕[ 汾西王 ] 분서왕[ 汾西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백제의 제9대 책계왕(責稽王, 재위 286~298)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대방(帶方)의 왕녀(王女)인 보과부인(寶菓夫人)이다.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제12대 계왕(契王, 재위 344∼346)을 비롯한 여러 명의 아들이 있었다. 《삼국사기》에는 분서왕(汾西王)이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풍채가 뛰어났으며, 아버지 책계왕의 총애를 받아 늘 곁에 머물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298년(책계왕 13) 가을에 책계왕이 한인(漢人)과 맥인(貊人)의 침공을 받아 전사하자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분서왕은 죄수들을 대규모로 사면하고, 299년(분서왕 2)에는 시조 온조왕의 아버지인 고구려 동명왕의 사당에서 제사를 지냈다. 304년(분서.. 2022. 5. 4. 책계왕[ 責稽王 ] 책계왕[ 責稽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청계왕(靑稽王)이라고도 한다. 백제의 제8대 고이왕(古尒王, 재위 234∼286)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생모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대방(帶方)의 왕녀(王女)인 보과(寶菓)를 비로 맞이해 제10대 분서왕(汾西王, 재위 298∼304)을 낳았다. 《삼국사기》에는 책계왕(責稽王)이 체격이 크고 뜻과 기운이 웅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286년(고이왕 53) 겨울 아버지 고이왕이 죽자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는데, 왕위에 오른 뒤에 장정을 징발해 위례성(慰禮城)을 보수했다. 그리고 그해에 고구려의 공격을 받은 대방이 원병을 요청하자 군대를 보내 그들을 구했다. 그래서 고구려와의 관계가 악화되자, 아단성(阿旦城)과 사성(蛇城)을 쌓아 고구려의 침략을 .. 2022. 5. 4. 고이왕[ 古爾王 ] 고이왕[ 古爾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한자 표기가 《삼국사기》에는 ‘古尒王(고이왕)’, 《삼국유사》에는 ‘古爾王(고이왕)’으로 되어 있다. 백제의 제4대 왕인 개루왕(蓋婁王, 재위 128∼166)의 둘째아들이며 제5대 초고왕(肖古王, 재위 166∼214)의 동복아우로 전해진다. 그러나 개루왕과 고이왕의 연대 차이로 볼 때 부자(父子) 관계라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은 역사적 사실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234년(구수왕 21)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234)이 죽고 그의 맏아들인 사반왕(沙伴王)이 왕위에 올랐으나 나이가 어려 정사를 잘 처리하지 못해 곧바로 폐위되고 고이왕이 그를 대신해 왕위에 올랐다. 《삼국유사》에도 《삼국사기》와 마찬가지로 사반왕이 나이.. 2022. 5. 4.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