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백제 왕조 계보31

침류왕[ 枕流王 ] 침류왕[ 枕流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백제의 제14대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384)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아이부인(阿尒夫人)이며 제16대 진사왕(辰斯王, 재위 385~392)의 형이다. 왕비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제17대 아신왕(阿莘王, 재위 392년~405)과 훈해(訓解), 설례(碟禮), 홍(洪) 등의 자녀가 있었다.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아신왕이 진사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아신왕 때에 좌장(左將)으로 병권을 담당한 진무(眞武)가 왕의 외삼촌이라는 기록이 전해지므로, 아신왕을 침류왕의 아들로 보면 왕비의 성은 진씨(眞氏)로 확인된다. 침류왕(枕流王)은 384년(근구수왕 10) 여름에 아버지 근구수왕이 죽자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당시 고구려와 신라는.. 2022. 5. 13.
근구수왕[ 近仇首王 ] 근구수왕[ 近仇首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이름(諱)은 수(須)라고도 한다. 백제의 제13대 근초고왕(近肖古王, 재위 346~375)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왕비 진씨(眞氏)이다. 아이부인(阿尒夫人)을 왕비로 맞이해 제15대 침류왕(枕流王, 재위 384~385)과 제16대 진사왕(辰斯王, 재위 385~392) 등을 낳았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근구수왕(近仇首王)은 태자로 있으면서 369년(근초고왕 24) 고구려의 고국원왕(故國原王, 재위 331~371)이 직접 2만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치양(雉壤, 지금의 황해도 배천)을 침공해오자 왕의 명령을 받아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군과 싸워 승리를 거두었다. 《삼국사기》에는 당시 근구수왕이 원래 백제인이었으나 왕이 타는 말의 발굽에 상처를 입히고는 .. 2022. 5. 10.
근초고왕[ 近肖古王 ] 근초고왕[ 近肖古王 ] 요약 백제의 제13대 왕으로 고구려의 남평양을 빼앗고 한성을 도읍으로 하여 백제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재위 346~375) 백제의 제13대 왕으로 일본의 《고지키(古事記)》와 《니혼쇼키(日本書紀)》 등의 기록에서는 조고왕(照古王)이나 초고왕(肖古王) 등의 이름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중국의 《진서(晉書)》에는 ‘백제왕 여구(百濟王 餘句)’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백제 11대 비류왕(比流王, 재위 304~344)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체격과 용모가 뛰어났으며 식견이 넓었다”고 그 풍모에 대해서 전하고 있다. 비류왕이 죽은 뒤에 10대 분서왕(汾西王, 재위 298~304)의 맏아들인 계왕(契王, 재위 344~346)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계왕이.. 2022. 5. 10.
계왕[ 契王 ] 계왕[ 契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백제의 제10대 분서왕(汾西王, 재위 298∼304)의 맏아들이다. 생모와 왕비, 자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삼국사기》에는 304년(분서왕 7) 겨울에 분서왕이 낙랑의 태수가 보낸 자객에게 살해되자, 계왕(契王)을 비롯한 분서왕의 여러 아들들이 모두 나이가 어려 신하들과 백성들이 제6대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234)의 둘째아들이자 제7대 사반왕(沙伴王, 재위 234)의 동생인 비류왕(比流王, 재위 304∼344)을 왕으로 추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비류왕이 오랜 기간 민간에 있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과 구수왕과 비류왕의 연대 차이를 고려하면 비류왕이 구수왕의 아들이라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은 역사적 사실로 보기 어렵다. 따라.. 2022. 5.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