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백제 왕조 계보31

의자왕[ 義慈王 ] 의자왕[ 義慈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이름[諱]은 의자(義慈)이다. 백제의 제30대 무왕(武王, 재위 600∼641)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생모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왕비에 관한 기록도 전해지지 않지만, 《삼국사기》에는 657년(의자왕 17)에 왕의 서자(庶子) 41명을 좌평(佐平)으로 임명하고 그들에게 식읍(食邑)을 지급했다고 기록되어 있어서 자녀가 무척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에는 의자왕의 왕자로 효(孝), 태(泰), 융(隆), 연(演), 풍(豐), 궁(躬), 충승(忠勝), 충지(忠志) 등의 이름이 등장한다. 《니혼쇼키(日本書紀)》에는 ‘풍’의 이름이 ‘풍장(豐璋)’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충승’이 그의 형제가 아니라 숙부라고 되어 있다. 의자왕(義慈王)은 632년(무왕 .. 2022. 5. 20.
무왕[ 武王 ] 무왕[ 武王 ] 요약 백제 제30대 왕으로 신라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재위 600∼641) 성은 부여(夫餘), 이름[諱]은 장(璋)으로 《수서(隋書)》에는 여장(餘璋)이라고 적혀 있다. 시호는 무왕(武王)이며,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무강왕(武康王)·헌병왕(獻丙王)이라고도 불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서들에는 29대 법왕(法王, 재위 599∼600)의 아들이라고 나타나 있지만, 중국 남북조시대 북조(北朝)의 역사를 기록한 《북사(北史)》에는 27대 위덕왕(威德王, 재위 554~598)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은 위덕왕과 무왕 사이에 있었던 28대 혜왕(惠王, 재위 598~599)과 29대 법왕의 재위기간이 합해도 3년이 되지 않.. 2022. 5. 20.
법왕[ 法王 ] 법왕[ 法王 ] 성은 부여(夫餘), 이름[諱]은 선(宣) 또는 효순(孝順)으로 《수서(隋書)》에는 여선(餘宣)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시호는 법왕(法王)이다. 제28대 혜왕(惠王, 재위 598~599)의 맏아들로 알려져 있지만 《수서》에는 법왕이 창왕(昌王)이라고도 하는 제27대 위덕왕(威德王, 재위 554~598)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혜왕이 즉위한 다음해에 죽자 법왕이 왕위를 이었으나, 그도 혜왕과 마찬가지로 재위 2년 만에 죽었다. 이처럼 재위 기간이 짧기 때문에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법왕과 관련해서는 많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시호에서도 나타나듯이 불교를 숭상하여 왕위에 오른 599년 12월에 살생을 금지하고 민가에서 사냥용으로 기르는 매와 새매를 모두 놓아주고 고기 잡고 사냥하.. 2022. 5. 20.
혜왕[ 惠王 ] 혜왕[ 惠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이름[諱]은 계(季)이다. 시호는 혜(惠)이며 백제의 제26대 성왕(聖王, 재위 523∼554)의 둘째아들이며 제27대 위덕왕(威德王, 재위 554∼598)의 동생이다. 그러나 《니혼쇼키(日本書紀)》에는 혜(惠)가 시호가 아니라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생모와 왕비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제29대 법왕(法王, 재위 599∼600) 선(宣) 등의 자녀가 있었다.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혜왕이 위덕왕의 아들이며 헌왕(獻王)이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명왕(明王)의 둘째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명왕은 성왕을 이름을 따서 부른 것이다. 그러나 《삼국유사》 ‘왕력’ 편에서 위덕왕의 이름을 창(昌)이 아니라 고(高)나 명(明)이라고 기록하.. 2022. 5.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