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백제 왕조 계보31

삼근왕[ 三斤王 ] 삼근왕[ 三斤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임걸왕(壬乞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삼걸왕(三乞王)이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제의 제22대 문주왕(文周王, 재위 475∼477)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생모와 왕비, 자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삼근왕은 477년(문주왕 3) 여름에 태자로 봉해졌으며, 그해 가을에 부왕인 문주왕이 사냥을 나갔다가 병관좌평(兵官佐平) 해구(解仇)의 사주를 받은 도적에게 살해되자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당시 백제는 고구려 장수왕(長壽王, 재위 412~491)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기고 웅진(熊津, 지금의 공주)으로 도읍을 옮긴 직후였으므로 왕권이 크게 약화되고 귀족들 사이의 갈등도 커져가고 있었다. 게다가 삼근왕이 왕위에 올랐을 때의 나이.. 2022. 5. 20.
문주왕[ 文周王 ] 문주왕[ 文周王 ] 백제의 제22대 왕으로 웅진으로 도읍을 옮겼으나 병관좌평 해구에게 살해되었다. (재위 475-477) 성은 부여(夫餘)이며 이름[諱]은 중국의 《양서(梁書)》에 모도(牟都)라고 기록되어 있다. 《송서(宋書)》에는 성과 이름을 합하여 여도(餘都)라고 기록되어 있다. ‘문주왕(文洲王/汶州王)’이라고도 하며, 《삼국유사(三國遺事)》 왕력편(王曆篇)에는 ‘문명왕(文明王)’이라고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개로왕(蓋鹵王)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일찍부터 개로왕을 보좌하여 벼슬이 상좌평(上佐平)에 이르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성격이 우유부단하였으나 백성을 사랑하여 백성들에게 사랑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475년(개로왕 21) 9월에 고구려 장수왕(長壽王, 재위 412~491)이 3만의 .. 2022. 5. 20.
개로왕[ 蓋鹵王 ] 개로왕[ 蓋鹵王 ] 백제의 제21대 왕으로 고구려 장수왕의 침입으로 한성이 함락되어 목숨을 잃었다.(재위 455~475) 성은 부여(夫餘), 이름[諱]은 경사(慶司)로 《위서(魏書)》에는 성과 이름을 합하여 여경(餘慶)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근개루왕(近蓋婁王)이라고도 불렸으며, 《니혼쇼키(日本書紀)》에서는 가수리군(加須利君)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비유왕(毗有王)의 맏아들로 태어나 455년 9월 비유왕이 죽은 뒤에 왕위를 계승하였다. 왕위에 오른 뒤에 아들인 문주(文周)에게 정사(政事)를 보필하게 하였고, 나중에는 상좌평(上佐平)으로 임명하였다. 개로왕(蓋鹵王)은 신라(新羅), 왜(倭), 남조(南朝)의 송(宋) 등과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유지하여 고구려를 견제하는 한편, 북조(北朝)의 북.. 2022. 5. 20.
비유왕[ 毗有王 ] 비유왕[ 毗有王 ] 백제의 제20대 왕으로 신라ㆍ왜ㆍ중국 남조의 송(宋) 등과 우호관계를 형성하여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맞서려 했다. (재위 427∼455) 성은 부여(夫餘)이고 이름이나 시호 등은 전해지지 않는다. 《송서(宋書)》에는 백제왕 ‘여비(餘毗)’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이신왕(久尒辛王)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전지왕(腆支王)의 서자라는 이야기도 있으며 어느 것이 사실이지는 알 수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비유왕(毗有王)은 자태와 용모가 아름답고 언변이 뛰어나 사람들이 많이 따랐다고 한다. 그는 427년 12월 구이신왕이 죽은 뒤에 왕위에 올랐고, 즉위 이듬해인 428년에는 4부(四部)를 순시하며 가난한 백성들에게 가난의 정도에 따라 곡.. 2022. 5.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