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보/백제 왕조 계보31

구이신왕[ 久尒辛王 ] 구이신왕[ 久尒辛王 ] 성은 부여(夫餘)이고 이름이나 시호 등은 전해지지 않는다. 백제 18대 전지왕(腆支王, 재위 405~420)과 팔수부인(八湏夫人)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구이신왕(久尒辛王)에 대해서는 사서(史書)들에도 거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서 자세한 행적이 확인되지 않는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전지왕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전지왕이 죽은 뒤에 왕위에 올라 재위 8년째 되는 겨울 12월에 죽었다는 내용만 전해진다. 그리고 《송서(宋書)》에도 430년 중국 남조(南朝) 송(宋)나라의 문제(文帝, 재위 424~453)가 구이신왕의 뒤를 이어 백제의 왕위에 오른 비유왕(毗有王)이 전지왕의 작호(爵號)를 계승할 수 있게 했다고 기록하고 있어서 구이신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 2022. 5. 13.
전지왕[ 腆支王 ] 전지왕[ 腆支王 ] 성은 부여(夫餘), 이름은 영(映)으로 《양서(梁書)》에는 여영(餘映)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직지왕(直支王)이라고도 하며, 《삼국유사(三國遺事)》 ‘왕력(王曆)’ 편에서는 진지왕(眞支王)이라고 전해지기도 한다. 중국의 《송서(宋書)》 등에는 부여전(夫餘腆)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따르면, 전지왕(腆支王)은 백제 17대 아신왕(阿莘王, 재위 392~405)의 맏아들로 태어나 394년(아신왕 3) 태자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고구려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 재위 391∼413)에게 잇따라 전투에서 패한 백제가 왜국(倭國)과 우호관계를 맺음에 따라 397년(아신왕 6) 볼모로 왜국으로 건너갔다. 405년 아신왕이 죽자 숙부인 훈해(訓解)가 섭정이 되어 그의 귀국을.. 2022. 5. 13.
아신왕[ 阿莘王 ] 아신왕[ 阿莘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아방왕(阿芳王)이라고도 한다. 백제 제15대 침류왕(枕流王, 재위 384~385)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왕비 진씨(眞氏)이다. 그러나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침류왕의 아들이 아니라 제16대 진사왕(辰斯王, 재위 385~392)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전지왕(腆支王, 재위 405~420)과 여신(餘信) 등의 자녀가 있었다. 《삼국사기》에는 아신왕(阿莘王)이 뜻과 기풍이 호방하고 매사냥과 승마를 좋아했으며, 한성(漢城)의 별궁(別宮)에서 태어났을 때에는 밤에 신비로운 광채가 환하게 비추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침류왕 때에 태자로 봉해졌으나 385년(침류왕 2) 겨울 부왕인 침류왕이 죽었을 때에는 아직 나이가 어렸으므.. 2022. 5. 13.
진사왕[ 辰斯王 ] 진사왕[ 辰斯王 ] 성은 부여(扶餘)이며, 백제의 제14대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384)의 둘째아들이다. 어머니는 아이부인(阿尒夫人)이며 제15대 침류왕(枕流王, 재위 384~385)의 동생이다. 왕비와 자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나,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제17대 아신왕(阿莘王, 재위 392년~405)이 침류왕의 아들이 아니라 진사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진사왕(辰斯王)이 용감하고 지혜로웠으며 지략이 많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385년(침류왕 2) 겨울에 침류왕이 죽은 뒤 태자가 아직 나이가 어려서 동생인 진사왕이 왕위에 올랐다. 당시 고구려는 요동 지역을 정벌하며 세력을 크게 확대하고 있었는데, 왕위에 오른 진사왕은 386년(진사왕 2) 봄에 15세 이상의 장정.. 2022. 5. 13.
728x90